• 새문위키 정책 상 비로그인 이용자는 대부분의 문서를 편집할 수 없습니다. 회원 가입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새문위키 서버 이전이 완료됐습니다. 편집 가능합니다.

NPOV

새문위키
Admin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7월 28일 (금) 23:43 판 (Admin님이 자유도서관:NPOV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NPOV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새문위키 이전 컨셉 복구에 따라 문서명 복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개요

중립적 관점(Neutral Point of View)의 약자이다. 문서 서술의 관점을 특정인의 관점이 아닌 보편적으로 중립적인 관점을 채택하는 것이다.

2 현황

위키백과에서 채택하고 있는 관점이다. 이는 위키백과가 유저 내부의 편집 분쟁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술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위키백과:위키백과:중립적 관점 참조.

나무위키에서는 토론 합의에 따른 관점을 우선시하기에 딱히 중립적 관점을 따르지는 않는다. 편집 분쟁을 막고 심각하게 편향된 관점을 제지하는 점에서는 NPOV와 비슷한 점이 있으나 문서를 기여하는 유저들 자체의 편향성에 의해 비틀린 관점이 서술될 위험이 있다. 정작 관점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 두 관점을 나누어서 등재하는 경우가 많기에 생각보다 NPOV에 충실한 문서들을 찾기 힘들다.

3 단점

NPOV는 문서 신뢰성을 높이고, 관점의 차이에 따른 편집 분쟁을 막기에는 효과적이다. 그러나 NPOV를 채택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NPOV는 특정인의 관점을 배제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서술을 할 때 서술의 편향성을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이 요구된다.
  2. NPOV로 서술하는 것은 때로는 기여자들의 보편적인 정서와 괴리감을 일으킬 때도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는 NPOV의 원칙에 맞게 동해/일본해를 병기하고 있으나 이는 "한반도 동쪽 바다는 동해라고 부른다"는 한국어 위키 주 기여층인 한국인의 정서에 맞지 않다.
  3. 일부 소재들은 특정한 관점을 가진 사람들만 주로 관심을 갖기에 중립적인 관점으로 서술하는 것 자체가 매우 곤란하다. 예를 들면 성 소수자 관련 문서들은 성소수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거부감을 갖지 않되 비판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드물어 옹호하는 시각으로 실리는 경우가 종종 있고, 편향된 성향의 커뮤니티의 은어에 관한 문서들은 커뮤니티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관심을 갖지 않아 커뮤니티에 우호적인 시각으로 실리기 쉽다.
  4. 태생적으로 대립되는 두 의견이 모두 설득력이 있는 경우 중립적인 관점 자체가 불분명해진다. 이런 경우 "A도 있고, B도 있다" 이런 식으로 쓰여지는데 독자 입장에서는 서술이 흐려진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5. 근본적으로 NPOV는 대중의 합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어떤 대상에 대한 중립적 관점은 다양한 관점에 따른 시각이 드러난 후에 얻을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점은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하는 데에는 불편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

4 새문위키에서

새문위키는 기본문서에 MPOV를 우선적으로 채택하는 위키이나 이 문서의 파생문서 형태로 NPOV를 채택하는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문서 제목은 "NPOV/(문서명)" 형태로 작성하면 된다.

4.1 작성 요령

  • 위키백과:위키백과:중립적 관점의 지침에 따라 작성한다.
  • NPOV는 한국인의 입장만을 서술하면 안 된다. 따라서 외국에서 쓰는 표현이 다를 경우 반드시 병기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한국인의 입장만 서술해서도 안 된다.
  • 대상에 대한 찬양적/비하적 표현 또한 과격한 수식어를 일체 사용하지 않는다.

4.2 NPOV 하위문서

5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