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문위키 정책 상 비로그인 이용자는 대부분의 문서를 편집할 수 없습니다. 회원 가입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새문위키 서버 이전이 완료됐습니다. 편집 가능합니다.

명예 한국인

새문위키
imported>LL:Dohyundark님의 2017년 8월 2일 (수) 17:42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이 문서는 나무위키에서 가져왔습니다.


이 문서의 원본은 나무위키의 명예 한국인 문서입니다.

※이외에도 검은머리 외국인, 비뚤어진 애국심과도 어느정도 연관이 있다.

유명인사 중에서 한민족이나 한국 국적이 아닌데 (주로 한국 피가 섞였다는 이유로) 한국에서 대우가 좋은 사람들을 정리해놓은 문서.

물론 '명예 한국인'이란 말은 거의 안쓰이지만 이러한 사례를 분류하기에 가장 적합한 표현이라 여겨 붙인 것이다. 다른 적합한 용어가 있으면 리다이렉트 바람.

1 사례

1.1 전근대

※시기가 남북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경우 사료 부족으로 한국에서 취급이 어땠는지 알 수 없고 대부분 현대애국심 고취 등의 이유로 재조명된 것이다.

  • 기자: 이 목록에서 드물게 현대가 아닌 전근대에 매우 취급이 좋아진 사람. 근 현대와서는 기자조선 설 자체가 부정받고 있기때문에 단군에 완벽히 밀렸으나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 김일제: 기자처럼 전근대에 취급이 좋은 케이스이나 이사람은 기자와는 달리 현대 환빠들과 일부 지역주의자들에게 재조명받고 있다.
  • 고림: 북주명장으로, 먼 선조고구려인인걸 갖고 자꾸 고림 본인도 고구려인이라 연루되는 케이스
  • 고선지
  • 걸사비우: 말갈족이지만 발해개국공신
  • 소가 가문: 고대 일본의 권세가로 근거가 빈약한데 한국의 주류 사학계를 위시하여 일반 대중에게도 백제계라는 설이 기정사실처럼 퍼져있다.[1][2]
  • 서언왕
  • 이정기와 그 일가
  • 위만: 현대에 와서는 상투를 틀었다는 점과 연나라 자체가 고조선의 영토를 대거 획득했다는 점으로 말미않아 조선계로 여겨지는 경우가 있고 역사학게에서도 위만에 대한 논쟁이 있기는 한다. 그렇지만 업적 자체는 남겨져 있지만 생년 월일을 알수없을 만큼 기록이 많이 남겨져 있지는 않기 때문에 위인으로 모셔지는 분위기도 아니며.[3] 무엇보다도 근대 역사학계에서 재조명이 되기 이전까지는 얄짤없이 반역자 취급 이었다. 하지만 근 현대와서는 고조선의 중흥기를 마련했다는 기록이 재조명되었고 기자조선 설이 부정되는 추세에 있기에 역사학계에서의 평가는 좋은 편이다.
  • 치우: 환단고기에 치우와 관련된 썰이 들어있는 바람에 환빠에 의해 재조명(?)이 된 예.
  • 함보와 그 후손들: 함보의 경우 평가는 몰라도 그가 고려계라는 점이 고려와 금에 널리 알려저 있었고, 현대에 와서 환빠들이 신라인 여진족설의 주 근거로 들이밀고 있다.

1.2 근현대

1.3 진짜 한국인이 된 경우

1.4 애매한 경우

1.5 드립인 경우

2 여담

  1. 일반적으로 소가 가문을 백제계로 보는 근거로는, 첫째로 5세기 말 일본의 권신이었던 소가노마치(蘇我滿知)와 비슷한 시기 백제의 대신이었던 목만치(木滿致)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것, 둘째로 소가 가문의 계보를 살펴보면 한자(韓子), 고려(高麗)와 같은 마치 한반도에서 유래한 것처럼 보이는 이름이 발견된다는 것, 셋째로 도저히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가 5세기에 소가 가문이 일본 역사에 갑툭튀했는데 또 아이러니컬하게도 비슷한 시기 백제 정계에서 목씨 가문이 소리소문없이 버로우를 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 소가 가문이 백재계라는 설에 대한 일본 주류 사학계의 반응은 '어디 증거 있으면 그 증거나 갖고 와보시지요.' 정도.
  3. 사실 고조선 관련한 기록에 있어서 위인전이 남겨질 만큼의 기록이 있는 인물은 별로 없기는 하다.
  4. 물론 사실관계와는 관련이 없기는 하지만 역으로 따져본다면 그 만큼 주원장이 한미한 출신이라는 점이 관심을 받은것이라고 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