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문위키 정책 상 비로그인 이용자는 대부분의 문서를 편집할 수 없습니다. 회원 가입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새문위키 서버 이전이 완료됐습니다. 편집 가능합니다.

"YouTub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문위키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imported>LL:Hornet
imported>LL:Hornet
46번째 줄: 46번째 줄:
== 특징 ==
== 특징 ==
전 세계에서 많은 이용자가 몰려드는 만큼 [[저작권]] 관리를 깐깐하게 하는 편이다. 영리 저작물을 올릴 경우 원 저작자의 요청에 따라 혹은 유튜브의 저작권 위반 동영상 자동 차단 시스템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되거나 음성 삭제 규제(배경음악에 저작권이 침해되었을 때)를 받는데, 이게 업로더가 첨가한 음원뿐만 아니라 컨텐츠 내에 있는 가수들의 노래나 배경음악까지 지워버려지는 일이 가끔 있어서 논란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가 3회 적발되면 계정이 자동 해지된다.  
전 세계에서 많은 이용자가 몰려드는 만큼 [[저작권]] 관리를 깐깐하게 하는 편이다. 영리 저작물을 올릴 경우 원 저작자의 요청에 따라 혹은 유튜브의 저작권 위반 동영상 자동 차단 시스템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되거나 음성 삭제 규제(배경음악에 저작권이 침해되었을 때)를 받는데, 이게 업로더가 첨가한 음원뿐만 아니라 컨텐츠 내에 있는 가수들의 노래나 배경음악까지 지워버려지는 일이 가끔 있어서 논란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가 3회 적발되면 계정이 자동 해지된다.  
== 의의 ==
'''서비스 종료된 게임의 그 때 그 장면을 모으는 유일한 보고'''
{{현재년}}년 현재 서비스 종료 없이 쭉 운영되고 있는 동영상 사이트는 유튜브뿐이다. 이러한 이유는 유튜브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이 만든 동영상을 올리는 사이트라 조회수 자체가 엄청나고, 거기에 [[제임스 롤프]]가 올린 [[AVGN]]이 큰 히트를 치면서 아예 유튜브에 올린 동영상에 광고를 달아 수익을 버는 유튜버라는 직업이 만들어질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 유튜버라는 직업을 각인시킨 것은 2010년대 중반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대도서관]] 때부터고 볼 수 있다. 그 전에는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하는 BJ들이 많았는데, 이러한 BJ들은 광고 수입보다는 별풍선이라는 아이템을 통한 수익으로 돈을 벌고 있기 때문에 유튜브에 비해 수익 구조가 다소 불안정한 편이다. 그래서 현재는 서비스 종료된 온라인 게임을 촬영한 동영상이 현재까지 유튜브에 보존되고 있는데, 서버가 닫히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합법적으로 즐길 수 없는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이러한 자료는 그 당시에 서비스됐던 게임의 자세한 사항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다른 동영상 사이트와 비교하자면, 유튜브와 비슷한 시기에 서비스를 시작했던 [[엠엔캐스트]]라는 2009년을 끝으로 문을 닫았고, 다음 tv팟은 2017년에 [[카카오]]와 합병하는 과정에서 동영상이 초기화되었으며, 네이버는 분량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나마 엠군과 판도라TV가 현재까지 운영중이지만, 업체 사정상 언제 문을 닫을 지 알 수 없다. 거기에 판도라TV는 2010년 전후로 광고를 끝까지 재생시키는 등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용자가 많아서 {{현재년}}년 현재는 이용자가 많이 빠져나간 편이다.


{{각주}}
{{각주}}


[[분류 : 구글]], [[분류 : 웹페이지]], [[분류 : 토막글]]
[[분류 : 구글]], [[분류 : 웹페이지]], [[분류 : 토막글]]

2017년 7월 29일 (토) 16:57 판


Youtube
<img src="502px-YouTube_logo_2015.svg.png" width="250">
슬로건 Broadcast Yourself
종류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
언어 한국어 외 60개 언어
소유 Google Inc.
운영 Youtube LLC.
가입 필요 여부 선택
영리 여부 영리
현재 상태 운영중

YouTube(유튜브)는 YouTube LLC.에서 운영하는 전세계 최대 무료 동영상 공유 사이트이다.

1 역사

유튜브는 2005년 2월 15일에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그 해 4월 25일에 유튜브 첫 동영상인 "Me at the zoo"가 업로드되었다.

이후 유튜브는 동영상을 플래시로 재생하는 기술을 통해 동영상을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게 만들어 인기를 얻게 되었다. 2017년 지금에서야 플래시는 HTML5에 비해 느리고 기기 자원을 많이 잡아먹는다는 이유로 퇴출 대상이지만, 이 당시만 하더라도 유튜브의 플래시 플레이어 사용은 그야말로 혁명적이었다.

하지만,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마구 동영상을 올려대자 아무리 트래픽을 낮췄다고 해도 유튜브 역시 서버가 버텨내지 못하고 있으며 광고 도배를 해대는 후발 주자들과는 달리 수익 모델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2006년 10월, 구글이 공식적으로 인수를 한다[1].

구글이 인수한 이후, HD급 동영상 서비스를 시작했고 현재 전 세계에서 엄청난 이용자수가 몰리고 있다고 한다. HD급 서비스는 이후 720p와 1080p까지 선택이 가능해졌다. HD 서비스의 여파 때문인지 동영상 스트리밍 속도가 예전보다 훨씬 느려지긴 했지만 원 소스가 1080p라면 업로드 후 반나절 정도 처리과정 시간을 지나면 유튜브로도 1080p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래도 프레임 수는 60프레임까지 한계를 정해두고 있다. 2016년 현재 4k 동영상도 아무 무리 없이 빠르게 업로드/스트리밍 가능하다고 한다.

2011년 8월 18일 Youtube Music이라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이전보다 훨씬 다양하고 양질의 음악들을 들을수 있게 되었다.

구글은 2007년 6월 19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Google Press Day 2007’ 행사에서 국가별 현지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하고, 먼저 네덜란드, 브라질, 프랑스, 폴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스페인, 영국 사용자를 위한 페이지를 공개했다. 한국어 서비스는 2008년 1월 23일에 시작했다.

2 특징

전 세계에서 많은 이용자가 몰려드는 만큼 저작권 관리를 깐깐하게 하는 편이다. 영리 저작물을 올릴 경우 원 저작자의 요청에 따라 혹은 유튜브의 저작권 위반 동영상 자동 차단 시스템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되거나 음성 삭제 규제(배경음악에 저작권이 침해되었을 때)를 받는데, 이게 업로더가 첨가한 음원뿐만 아니라 컨텐츠 내에 있는 가수들의 노래나 배경음악까지 지워버려지는 일이 가끔 있어서 논란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가 3회 적발되면 계정이 자동 해지된다.

3 의의

서비스 종료된 게임의 그 때 그 장면을 모으는 유일한 보고

2024년 현재 서비스 종료 없이 쭉 운영되고 있는 동영상 사이트는 유튜브뿐이다. 이러한 이유는 유튜브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이 만든 동영상을 올리는 사이트라 조회수 자체가 엄청나고, 거기에 제임스 롤프가 올린 AVGN이 큰 히트를 치면서 아예 유튜브에 올린 동영상에 광고를 달아 수익을 버는 유튜버라는 직업이 만들어질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 유튜버라는 직업을 각인시킨 것은 2010년대 중반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대도서관 때부터고 볼 수 있다. 그 전에는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하는 BJ들이 많았는데, 이러한 BJ들은 광고 수입보다는 별풍선이라는 아이템을 통한 수익으로 돈을 벌고 있기 때문에 유튜브에 비해 수익 구조가 다소 불안정한 편이다. 그래서 현재는 서비스 종료된 온라인 게임을 촬영한 동영상이 현재까지 유튜브에 보존되고 있는데, 서버가 닫히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합법적으로 즐길 수 없는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이러한 자료는 그 당시에 서비스됐던 게임의 자세한 사항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다른 동영상 사이트와 비교하자면, 유튜브와 비슷한 시기에 서비스를 시작했던 엠엔캐스트라는 2009년을 끝으로 문을 닫았고, 다음 tv팟은 2017년에 카카오와 합병하는 과정에서 동영상이 초기화되었으며, 네이버는 분량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나마 엠군과 판도라TV가 현재까지 운영중이지만, 업체 사정상 언제 문을 닫을 지 알 수 없다. 거기에 판도라TV는 2010년 전후로 광고를 끝까지 재생시키는 등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용자가 많아서 2024년 현재는 이용자가 많이 빠져나간 편이다.

4 각주

  1. 구글,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 인수. 세계일보. 2006년 10월 1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