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문위키 정책 상 비로그인 이용자는 대부분의 문서를 편집할 수 없습니다. 회원 가입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새문위키 서버 이전이 완료됐습니다. 편집 가능합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문위키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imported>LL:Leebrave
(새 문서: {|class=wikitable ! colspan="2" | '''수도권 전철 1호선''' |- ! colspan="2" | 500px|가운데 |- ! 종류 | 광역철도 |- ! 운영 기관 | 한국...)
 
잔글 (Admin님이 자유도서관:수도권 전철 1호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수도권 전철 1호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새문위키 이전 컨셉 복구에 따라 문서명 복구)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colspan="2" | '''수도권 전철 1호선'''
! style="width:100%; background: #0D3692; color: #FFFFFF;" colspan="2"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colspan="2" | [[파일:SeoulLine1.png|500px|가운데]]  
! colspan="2" | [[파일:Subway seoul 1.gif|500px|가운데]]  
|-
|-
! 종류
! 종류
8번째 줄: 8번째 줄:
|-
|-
! 운영 기관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한국철도공사<br>서울메트로
서울메트로
|-
|-
! 체계
! 체계
18번째 줄: 17번째 줄:
|-
|-
! 운행 지역
! 운행 지역
| 경기도 파주시, 고양시 ~ 서울특별시 은평구, 동대문구,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 동대문구, 중랑구 ~ 경기도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
| 경기도 동두천시, 양주시, 의정부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원구, 동대문구, 종로구, 중구, 용산구, 동작구, 영등포구, 구로구 ~ 경기도 부천시 ~ 인천광역시 부평구, 남동구, 남구, 동구, 중구<br>서울특별시 금천구 ~ 경기도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평택시 ~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br>경기도 광명시<br>경기도 오산시
|-
|-
! 기점
! 기점
| 문산역(경기도 파주시)
| 소요산역(경기도 동두천시)
|-
|-
! 종점
! 종점
| 지평역(경기도 양평군)
| 인천역(인천광역시 중구)<br>신창역(충청남도 아산시)<br>서동탄역(경기도 오산시)<br>광명역(경기도 광명시)
|-
|-
! 개통연혁
! 개통연혁
| [[1978년]] [[12월 09일]] 용산↔청량리
| [[1974년]] [[08월 15일]] 서울역 ↔ 수원, 구로 ↔ 인천, 청량리 ↔ 성북(광운대), 서울역 ↔ 청량리<br>[[1985년]] [[04월 20일]] 성북(광운대) ↔ 창동<br>[[1986년]] [[09월 02일]] 창동 ↔ 의정부<br>[[1987년]] [[10월 05일]] 의정부 ↔ 의정부북부<br>[[2003년]] [[04월 30일]] 수원 ↔ 병점<br>[[2005년]] [[01월 20일]] 병점 ↔ 천안<br>'''[[2006년]] [[12월15일]] 의정부 소요산'''<br>[[2008년]] [[12월15일]] 천안 ↔ 신창<br>[[2010년]] [[02월 26일]] 병점 ↔ 서동탄
[[1980년]] [[04월 01일]] 서빙고, 한남
[[1985년]] [[10월 18일]] 옥수역
'''[[2005년]] [[12월 16일]] 청량리↔덕소'''
[[2007년]] [[12월 27일]] 덕소↔팔당
[[2008년]] [[12월 29일]] 팔당↔국수
[[2009년]] [[07월 01일]] 서울↔문산
[[2009년]] [[12월 23일]] 국수↔용문 및 신원
[[2010년]] [[12월 21일]] 상봉역, 오빈역
[[2012년]] [[12월 15일]] 가좌↔공덕
[[2014년]] [[10월 25일]] 강매역
'''[[2014년]] [[12월 27일]] 공덕 용산 및 직결 운행 개시'''
[[2015년]] [[10월 31일]] 야당역
[[2016년]] [[04월 30일]] 효창공원앞역
[[2017년]] [[01월 21일]] 지평역
|-
|-
! 궤도
! 궤도
50번째 줄: 35번째 줄:
|-
|-
! 역 수
! 역 수
| 55개
| 98개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首都圈 電鐵 京義·中央線)'''은 문산역과 지평역(본선 구간) 또는 서울역(지선 구간)을 잇는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이다. 기존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을 통폐합한 운행 계통으로 안내에 사용되는 노선 색상은 연옥색이다.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경유하여 운행된다.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 電鐵 一號線)'''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소요산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한국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공동 운영한다.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의 여러 노선에 걸쳐 운행된다.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남색이다.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노선이다.


<onlyinclude>
<onlyinclude>


== 운영 ==
== 운영 ==
=== 본선 ===
=== 경인선 계통 ===
'''문산 ~ 용문 / 지평 운행 계통'''
'''구로 ~ 인천  운행 계통'''


본 운행 계통으로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경유하며 배차간격의 경우에는 덕소역까지 9 ~ 15분, 덕소~용문 구간은 출퇴근시간 9 ~ 10분, 나머지 시간대에는 20 ~ 30분 가량 소요된다. 평일 출근 시간대에는 대부분의 열차가 전 구간을 운행하며, 나머지 시간대에는 문산역부터 덕소역 혹은 용문역 배차로 운행한다. 단, 지평역은 고객 수요 문제로 출근 시간대 2회, 퇴근 시간대 2회 운행한다.
한국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혼용되어 운영되며, 완행은 다음과 같이 운행된다.


중간 시/종착의 경우에는 일산역, 능곡역, 수색역, 용산역, 청량리역, 덕소역, 팔당역 등이 있다. 최초 계획은 당초 양방향 상시급행을 운행할 계획이었으나 6량 편성화 취소로 인한 8량 편성 부족으로 인하여 계획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당분간 평일 출퇴근 시간대 한정으로 기존에 운행하던 급행을 연장하여 운행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중앙선에서 운행되었던 자전거열차의 경우에는 주말 양평 ~ 용산 전용 운행 계통이 폐지되며, 혼용 운행된다.
* 동두천 / 소요산 - 인천
* 양주, 의정부, 창동, 광운대 - 인천


==== 급행 ====
==== 급행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 - 용산 급행
* 경인선 계통 용산 - 동인천 급행
: 문산역 - 금촌역 - 금릉역 - 운정역 - 탄현역 - 일산역 - 백마역 - 대곡역 - 행신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홍대입구역 - 공덕역 - 용산역
: 용산역 - 노량진역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구로역 - 개봉역 - 역곡역 - 부천역 - 송내역 - 부평역 - 동암역 - 주안역 - 제물포역 - 동인천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 - 용문 급행
=== 경부선 계통 ===
: 용산역 - 이촌역 - 옥수역 - 왕십리역 - 청량리역 - 회기역 - 상봉역 - 구리역 - 도농역 - 덕소역 - 도심역 - 양수역 - 양평역 - 용문역
'''남영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천안 운행 계통'''


=== 지선 ===
역시 한국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의 전철이 함께 운영된다. 완행은 다음과 같이 운영된다.
'''문산 / 대곡 ~ 서울역 운행 계통'''


경의선 시절 운영했던 노선으로써,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이후에도 유지되어 운행한다. 경의중앙선 개통과 함께 출퇴근 시간과 저녁 시간대에는 기존에 운행하던대로 운행하게 되며, 낮 시간대에는 대곡 착발로 변경되어 운행하며 이 과정에서 4량 9편성이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출퇴근 시간 30분, 나머지 시간대는 1시간이며, 배차간격이 긴 이유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의 KTX 열차 입·출고와 수색차량사업소의 일반 열차 입·출고로 인한 선로 용량 제한 때문에 불가피하다고 한다.
* 서동탄 - 병점 - 광운대
* 신창 / 천안 - 청량리


==== 급행 ====
==== 급행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 - 서울역 급행
* 경부선 계통 서울역(지상) - 천안 급행
: 문산역 - 금촌역 - 운정역 - 일산역 - 백마역 - 대곡역 - 행신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신촌역 - 서울역
: 서울역(지상) - (영등포) - 금천구청역 - 안양역 - 군포역 - 의왕역 - (성균관대역) - 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성역 - 천안역 - (봉명역) - (쌍용역) - (아산역) - (배방역) - (온양온천역) - (신창역)
 
* 경부선 계통 용산 - 천안 급행
: 용산역 - 노량진역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구로역 - 가산디지털단지역 - 안양역 - 오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정역 - 천안역 - (봉명역) - (쌍용역) - (아산역) - (배방역) - (온양온천역) - (신창역)
 
=== 경원선 계통 ===
'''소요산 ~ 회기 운행 계통'''
 
완행은 다음과 같이 운행된다.
 
* 서동탄 - 병점 - 광운대
* 신창 / 천안 - 청량리
 
==== 급행 ====
* 경원선 계통 소요산 / 동두천 - 인천 급행
: (소요산역) - 동두천역 - 동두천중앙역 - 덕정역 - 양주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창동역 - 광운대역 - 석계역 - 신이문역 - 외대앞역 - 회기역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동묘앞역 - 동대문역 - 종로5가역 - 종로3가역 - 종각역 - 시청역 - 서울역 - 남영역 - 용산역 - 노량진역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구로역 -구일역 - 개봉역 - 오류동역 - 온수역 - 역곡역 - 소사역 - 부천역 - 중동역 - 송내역 - 부개역 - 부평역 - 백운역 - 동암역 - 간석역 - 주안역 - 도화역 - 제물포역 - 도원역 - 동인천역 - 인천역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경의선]]
* [[경인선]]
* [[중앙선]]
* [[경부선]]
* [[용산선]]
* [[경원선]]
* [[경원선]]


{{clear}}
{{clear}}
[[분류 : 수도권 전철]], [[분류 : 대중교통]], [[분류 : 여행]]
[[분류 : 수도권 전철]], [[분류 : 광역철도]], [[분류 : 대중교통]], [[분류 : 여행]]

2023년 7월 29일 (토) 00:39 기준 최신판


수도권 전철 1호선
종류 광역철도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메트로
체계 수도권 전철
상태 영업중
운행 지역 경기도 동두천시, 양주시, 의정부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원구, 동대문구, 종로구, 중구, 용산구, 동작구, 영등포구, 구로구 ~ 경기도 부천시 ~ 인천광역시 부평구, 남동구, 남구, 동구, 중구
서울특별시 금천구 ~ 경기도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평택시 ~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경기도 광명시
경기도 오산시
기점 소요산역(경기도 동두천시)
종점 인천역(인천광역시 중구)
신창역(충청남도 아산시)
서동탄역(경기도 오산시)
광명역(경기도 광명시)
개통연혁 1974년 08월 15일 서울역 ↔ 수원, 구로 ↔ 인천, 청량리 ↔ 성북(광운대), 서울역 ↔ 청량리
1985년 04월 20일 성북(광운대) ↔ 창동
1986년 09월 02일 창동 ↔ 의정부
1987년 10월 05일 의정부 ↔ 의정부북부
2003년 04월 30일 수원 ↔ 병점
2005년 01월 20일 병점 ↔ 천안
2006년 12월15일 의정부 ↔ 소요산
2008년 12월15일 천안 ↔ 신창
2010년 02월 26일 병점 ↔ 서동탄
궤도 표준궤
신호 ATS
역 수 98개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 電鐵 一號線)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소요산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한국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공동 운영한다.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의 여러 노선에 걸쳐 운행된다.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남색이다.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노선이다.

1 운영

1.1 경인선 계통

구로 ~ 인천 운행 계통

한국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혼용되어 운영되며, 완행은 다음과 같이 운행된다.

  • 동두천 / 소요산 - 인천
  • 양주, 의정부, 창동, 광운대 - 인천

1.1.1 급행

  • 경인선 계통 용산 - 동인천 급행
용산역 - 노량진역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구로역 - 개봉역 - 역곡역 - 부천역 - 송내역 - 부평역 - 동암역 - 주안역 - 제물포역 - 동인천역

1.2 경부선 계통

남영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천안 운행 계통

역시 한국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의 전철이 함께 운영된다. 완행은 다음과 같이 운영된다.

  • 서동탄 - 병점 - 광운대
  • 신창 / 천안 - 청량리

1.2.1 급행

  • 경부선 계통 서울역(지상) - 천안 급행
서울역(지상) - (영등포) - 금천구청역 - 안양역 - 군포역 - 의왕역 - (성균관대역) - 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성역 - 천안역 - (봉명역) - (쌍용역) - (아산역) - (배방역) - (온양온천역) - (신창역)
  • 경부선 계통 용산 - 천안 급행
용산역 - 노량진역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구로역 - 가산디지털단지역 - 안양역 - 오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정역 - 천안역 - (봉명역) - (쌍용역) - (아산역) - (배방역) - (온양온천역) - (신창역)

1.3 경원선 계통

소요산 ~ 회기 운행 계통

완행은 다음과 같이 운행된다.

  • 서동탄 - 병점 - 광운대
  • 신창 / 천안 - 청량리

1.3.1 급행

  • 경원선 계통 소요산 / 동두천 - 인천 급행
(소요산역) - 동두천역 - 동두천중앙역 - 덕정역 - 양주역 - 의정부역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창동역 - 광운대역 - 석계역 - 신이문역 - 외대앞역 - 회기역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동묘앞역 - 동대문역 - 종로5가역 - 종로3가역 - 종각역 - 시청역 - 서울역 - 남영역 - 용산역 - 노량진역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구로역 -구일역 - 개봉역 - 오류동역 - 온수역 - 역곡역 - 소사역 - 부천역 - 중동역 - 송내역 - 부개역 - 부평역 - 백운역 - 동암역 - 간석역 - 주안역 - 도화역 - 제물포역 - 도원역 - 동인천역 - 인천역

2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