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문위키 정책 상 비로그인 이용자는 대부분의 문서를 편집할 수 없습니다. 회원 가입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새문위키 서버 이전이 완료됐습니다. 편집 가능합니다.

"새천년미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문위키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목차] == 개요 == 경주시시내버스업체. 홈페이지 == 차량 == 현대자동차위주...)
 
imported>LL:Hyperactive
29번째 줄: 29번째 줄:
||30번||터미널-야척-터미널||10회||
||30번||터미널-야척-터미널||10회||
||31번||터미널-야척-터미널||10회||
||31번||터미널-야척-터미널||10회||
||40번||터미널-동국대-석장동-터미널||35회||
||40번||문화고-동국대-석장동-문화고[* 언제부터인가 슬그머니 문화고까지 연장되었다.]||35회||
||41번||문화고-동국대-문화고||56회||
||41번||문화고-동국대-문화고||56회||
||50번||신경주역-충효동-용강동||평일 65회, 주말 48회||
||50번||신경주역-충효동-용강동||평일 65회, 주말 48회||
36번째 줄: 36번째 줄:
||61번||신경주역-광명-서악동-현진에버빌||13회||
||61번||신경주역-광명-서악동-현진에버빌||13회||
||70번||신경주역-충효동-동천동-신경주역||80회[* 경주에서 가장 많이 운행하는 노선.]||
||70번||신경주역-충효동-동천동-신경주역||80회[* 경주에서 가장 많이 운행하는 노선.]||
=== 100번대 ===
=== 100번대 ===
양남,감포등 바닷가가 있는 곳을 도는 노선.
양남,감포등 바닷가가 있는 곳을 도는 노선.

2017년 7월 25일 (화) 09:36 판

1 개요

경주시시내버스업체. 홈페이지

2 차량

현대자동차위주로 운행중이나 선롱버스,기아 그랜버드,대우버스 BH116등 실험적인 차량을 쓰기도 했다. 선롱버스는 지금도 잘 운행중이나 그랜버드, BH116은 내구연한 만료로 대차된지 오래다.
그래도 시내버스에 유니버스, 유니시티, 쏠라티, 한국화이바제 버스 프리머스,화이버드를 굴리는 등 실험적인 행보는 계속되고 있다.

3 요금

버스종류일반중고생초등학생
입석(현금)1300원1000원700원
입석(카드)1250원950원650원
좌석(현금)1700원1300원800원
좌석(카드)1650원1250원750원

4 노선

여기서 말하는 터미널은 모두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을 뜻한다. 터미널에서 조금만 걸어오면 임시주박차고지가 있고 차고지 앞에 정류장이 있다.

4.1 10~70번대

시내를 순환하나 30,31번처럼 현곡을 도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x0,x1번의 코스는 서로 정반대이나 40,41번처럼 아예 출발지가 다른경우도 있다.

버스번호주요경유지운행횟수
10번터미널-불국사42회
11번터미널-불국사42회
12번불국사-석굴암[1]10회[2]
15번터미널-보문마을3회[3]
16번터미널-손곡9회
17번터미널-아동1회[4]
18번터미널-암곡8회
30번터미널-야척-터미널10회
31번터미널-야척-터미널10회
40번문화고-동국대-석장동-문화고[5]35회
41번문화고-동국대-문화고56회
50번신경주역-충효동-용강동평일 65회, 주말 48회
51번신경주역-충효동-용강동평일 64회, 주말 48회
60번신경주역-광명-서악동-현진에버빌13회
61번신경주역-광명-서악동-현진에버빌13회
70번신경주역-충효동-동천동-신경주역80회[6]

4.2 100번대

양남,감포등 바닷가가 있는 곳을 도는 노선.
전 차량 좌석버스로만 운행한다. 양남,양북,감포 주민들의 차비가 걱정된다...

버스번호주요경유지운행횟수
100번터미널-경주월드-엑스포공원-감포35회
130번[7]어일-기림사[8]14회
150번터미널-경주월드-엑스포공원-경주주상절리-양남17회

4.3 200번대

안강, 강동, 현곡등지를 잇는노선으로, 배차가 적으나 210번처럼 배차가 많은 노선도 있다. 270번대는 천북으로 빠진다.

버스번호주요경유지운행횟수
200번터미널-강동-안강-기계10회
201번터미널-강동-안강-육통5회
202번터미널-강동-안강-두류1리5회
203번(신경주역)-터미널-강동-양동마을-안강-옥산서원10회[9]
205번터미널-강동-안강-하곡5회
206번터미널-강동-안강-두류2리-풍산금속아파트-터미널5회
207번터미널-강동-안강-강교2리5회
208번터미널-강동-안강-강교1리(야일)5회
210번터미널-금장-사방-안강-산대(우방/한동아파트40회[10]
212번터미널-강동-안강-근계6회
216번터미널-금장-사방-검단약수터8회
222번안강동부터미널-안강읍내-산대-존당-안강동부터미널10회
230번터미널-금장-현곡-남사10회
231번터미널-금장-현곡-내태8회[11]
232번터미널-금장-나원10회
234번[12]터미널-금장-경주디자인고-가목동5회
252번안강터미널-안강내 여러 벽지마을[13]12회
260번터미널-강동-위덕대학교평일 22회, 주말 13회
270번경주대학교-충효동-용강동-신당3리9회
271번터미널-용강동-모아-오야9회
272번터미널-용강동-화산리16회
273번터미널-용강동-신당1리10회
275번터미널-용강동-동산리-성지리-갈곡리8회
277번터미널-용강동-동산리-물천리펜션촌8회

4.4 300번대

건천,서면,아화를 잇는 노선.

버스번호주요경유지운행횟수
300번용강동-충효동-건천-아화23회
300-1번용강동-서악동-무열왕릉-건천-아화13회
301번용강동-충효동-건천-사라,운대,-아화8회
302번아화-도계2회
303번경주역-충효동-건천-아화-도리7회
304번경주역-충효동-건천-아화-천촌7회
305번아화-임포4회[14]
330번터미널-서악동-무열왕릉-둥굴마을-망성,화곡8회
332번경주역-충효동-화천리-학동8회[15]
333번[16]경주역-충효동-고란5회
334번경주역-충효동-모란-방내9회
335번용강동-충효동-건천시장-용명리6회
337번용강동-충효동-건천-밀구8회
338번용강동-충효동-건천-가척6회
350번경주역-충효동-건천-산내28회
351번경주역-충효동-건천-산내-우라6회[17]
352번경주역-충효동-건천-산내-일부7회[18]
355번경주역-충효동-건천-산내-언양[19]-대현4회
356번산내-시다,태종2회
357번산내-신원-지촌3회

4.5 500번대

내남방면으로 가는 버스로 울산 울주군 봉계까지 가는 노선이 있다.

버스번호주요경유지운행횟수
500번터미널-삼릉-오릉-포석정-경주교도소-내남-울산봉계33회
502번터미널-삼릉-현동-덕천7회
505번터미널-삼릉-포석정-경주교도소-내남-이조-박달6회
506번터미널-삼릉-포석정-경주교도소-내남-명계7회
507번터미널-삼릉-포석정-경주교도소-내남-이조-안심-구일6회
508번터미널-삼릉-포석정-경주교도소-내남-이조-냉천-입실6회

4.6 600번대

외동,입실 방면으로 가는 버스로 일부 버스는 모화역에서 울산으로 가는 버스들로 환승이 가능하다. 물론 무료환승은 안되고...

버스번호주요경유지운행횟수
600번터미널-배반동-불국사역-입실-모화78회
601번터미널-배반동-불국사역-시래동-북토7회
602번터미널-배반동-불국사역-신계3회
603번터미널-배반동-불국사역-제네리7회
604번터미널-배반동-불국사역-제네리-새원리-모화4회
605번터미널-배반동-불국사역-입실-모화-석계리17회
607번터미널-배반동-불국사역-입실-구어뭘구워?7회[20]
609번터미널-배반동-불국사역-입실-모화-녹동7회[21]

4.7 700번

KTX 신경주역이 생기면서 생긴 노선으로 처음에는 특수노선으로 취급되어 정해진 정류장에만 섰으나 워낙 승차거부 민원이 많자 그냥 일반 좌석버스가 되어버렸다... 안습.

버스번호주요경유지운행횟수
700번신경주역-충효동-경주유명관광지-불국사-한수원[22]27회
  1. 정말로 딱 불국사-석굴암만 왔다갔다 한다!
  2. 하절기/동절기에 따라 운행시간이 달라진다.
  3. 정규차량이 없다. 15,16,외동방면 버스차량이 15번으로 뛴다.
  4. 하루 딱 한번, 6시 20분에 터미널에서 출발하는데, 이 노선이 진짜로 운행하는지는 의문.
  5. 언제부터인가 슬그머니 문화고까지 연장되었다.
  6. 경주에서 가장 많이 운행하는 노선.
  7. 쏠라티로 운행한다. 그 작은차가 좌석버스라니
  8. 새벽 5시 45분에 터미널에서 출발하며 저녁 7시 15분에 다시 터미널로 돌아간다. 그리고 상당히 시간표가 복잡하니 시간표를 꼭 확인하자.
  9. 신경주역은 4회만 경유한다.
  10. 200번대 노선중에서는 가장 많이 운행한다.
  11. 2회 소현리 경유
  12. 333번 버스와 동일한 버스가 운행한다.
  13. 130번처럼 시간표가 상당히 복잡하므로 시간표를 잘 살펴야 한다.
  14. 300번,303번 차량이 연장운행한다.
  15. 여담이지만 이 노선의 시간표에는 승객여부 상관없이 도중회차시 중징계하겠다는 협박글이 적혀있다 ㅎㄷㄷ
  16. 234번 버스와 동일한 버스가 운행한다.
  17. 경주시내로 나오는것은 3회뿐이다.
  18. 경주시내로 나오는것은 3회뿐이다.
  19. 2회경유
  20. 시간표가 복잡하므로 시간표를 참고해서 타자.
  21. 7회중 2회는 말방,활성등 벽지마을을 빙빙도는 완행급 노선이다.
  22. 평일에만 한수원까지 운행하며 주말에는 불국사까지만 가고 끝낸다.